최근 개인적으로 이직을 하고 연말, 연초다 보니 포스팅이 소홀해졌는데, 새해 새마음으로 다시 포스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새해에 사내 스터디로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기로 했는데, 관련 내용을 공부하며, 같이 블로그에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학습할 때 참고한 책은 쿠버네티스 입문 입니다.
Continue reading
최근에 안드로이드에서 뷰가 그려지는 과정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던 적이 있는데 그 부분에 대답을
잘 못해서 공부도 할겸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Continue reading
이번에는 DI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Koin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기존에 DI 라이브러리로 유명한건 Dagger 인데, Dagger가 학습 곡선이
높아서 우선 상대적으로 학습 곡선이 낮은 Koin을 학습하고 그 이후에 Dagger도 같이 볼까 합니다.
Continue reading
최근에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REST API를 이용하여 Retrofit2과 MVP 패턴을 이용하여 토이 프로젝트를 했었는데, Fragment 간에 이벤트를 넘겨주기 위해서
처음에 Square사의 Otto(Deprecated)를 사용하여 만들었다가 최근에 다시 공부했던 RxJava를 이용하여 Otto를 대체하면서 그 부분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Continue reading
자바에서 많이 사용하는 싱글톤 패턴에 대해서 알아볼건데,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어떻게 짜야 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inue reading
이번 포스팅에는 프로세스간 동기화와 동기화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inue reading
이번에는 자바의 Garbage Collec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에서는 프로그램 코드에서 메모리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해제하지 않습니다. 이 때 Garbage Collection는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쓰레기)객체를 찾아서 지우는 역할을 합니다. GC는 힙 메모리만 다룹니다.
Continue reading
개인적으로 코틀린을 사용하다가 apply, with, let, also, run이 언제 어떤 케이스에 사용하는지 햇갈려서 해당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한번 해보고자 합니다.
Continue reading
이번에 안드로이드 프로세스 및 스레드 개념에 대해서 다시 공부할 일이 있었는데 해당 내용을 포스팅해놓으면 좋을거 같아서 포스팅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안드로이드 공식 홈페이지의 프로세스 및 스레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ontinue reading
Retrofit은 Square사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로 REST API를 안드로이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 API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Retrofit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스는 Kotlin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