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코틀린 동시성 프로그래밍이란 책을 읽고 공부하면서 알게 된 부분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원자성 위반

원자성 위반은동기화 없이 객체의 상태를 동시에 수정할 때 발생합니다. 동시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공유 상태를 수정하는 코드 블로깅 다른 스레드의 변경 시도와 겹치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은 코드로 테스트 했을때 나타납니다.

var counter = 0

fun main() = runBlocking {

    val context = Dispatchers.Default

    fun asyncIncrement(by: Int) = async(context) {
        for (i in 0 until by) {
            counter++
        }
    }

    repeat(10) {
        val workerA = asyncIncrement(2000)
        val workerB = asyncIncrement(100)

        workerA.await()
        workerB.await()

        println("counter : $counter")

    }

}

결과

counter : 2100
counter : 4200
counter : 6219
counter : 8229
counter : 10244
counter : 12247
counter : 14250
counter : 16255
counter : 18263
counter : 20274

위에 결과에서 보듯이 항상은 아니지만 어느순간부터 숫자 증감분이 누락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숫자가 보장이 되었다면 2100씩 증가가 되어야 하는데 세번째부터 누락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스레드가 하나의 변수에 대해서 읽기와 쓰기를 하는 경우 중복이 되어서 증가분 중 하나씩 유실이 되기 때문입니다.

코드 블록을 원자적으로 하려면 블록 안에서 발생하는 어떤 메모리 액세스도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다음에서는 이를 해결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레드 한정 ()

이름 그대로 공유 상태에 접근하는 모든 코루틴을 단일 스레드에서 실행되도록 한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태가 더 이상 스레드 간에 공유되지 않으며 하나의 스레드에서만 상태를 수정함을 의미합니다.

코루틴에서는 CoroutineContextSingleThreadContext로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var counter = 0

fun main() = runBlocking {

    val context = newSingleThreadContext("test") // <-- 여기만 변경

    fun asyncIncrement(by: Int) = async(context) {
        for (i in 0 until by) {
            counter++
        }
    }

    repeat(10) {
        val workerA = asyncIncrement(2000)
        val workerB = asyncIncrement(100)

        workerA.await()
        workerB.await()

        println("counter : $counter")
    }
}

결과

counter : 2100
counter : 4200
counter : 6300
counter : 8400
counter : 10500
counter : 12600
counter : 14700
counter : 16800
counter : 18900
counter : 21000

액터 (Actor)

위의 스레드 한정은 가장 심플한 방법이지만 앱의 여러 다른 부분에서 공유 상태를 수정해야 하거나 더 높은 유연성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스레드 한정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동시성 기본 요소인 채널을 사용해 솔루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를 혼합해 액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액터의 역할

상태 액세스를 단일 스레드로 한정하고 다른 스레드가 채널로 상태 수정을 요청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게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비동기 작업은 Dispaters.Default를 사용해 여러 스레드에서 호출이 되지만 실제 내부에서는 actor를 통해 하나의 스레드에서만 채널을 전달하게끔하였습니다.

여기서 액터의 역할은 단순히 송신 채널입니다.

아래 코드에서는 실제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메시지를 null 로 전달했습니다.

var counter = 0

fun main() = runBlocking {

    val context = newSingleThreadContext("contextActor")

    val actorCounter = actor<Void?>(context) {
        for (msg in channel) {
            counter++
        }
    }

    fun asyncIncrement(by: Int) = async(Dispatchers.Default) {
        for (i in 0 until by) {
            actorCounter.send(null)
        }
    }

    repeat(10) {
        val workerA = asyncIncrement(2000)
        val workerB = asyncIncrement(100)

        workerA.await()
        workerB.await()

        println("counter : $counter")
    }
}

결과

counter : 2100
counter : 4200
counter : 6300
counter : 8400
counter : 10500
counter : 12600
counter : 14700
counter : 16800
counter : 18900
counter : 21000

만약에 메시지를 직접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var counter = 0

fun main() = runBlocking {

    val context = newSingleThreadContext("contextActor")
    
    val actorCounter = actor<Action>(context) {
        for (msg in channel) {
            when (msg) {
                Action.INCREASE -> counter++
                Action.DECREASE -> counter--
            }
        }
    }

    fun asyncIncrement(by: Int) = async(Dispatchers.Default) {
        for (i in 0 until by) {
            actorCounter.send(Action.INCREASE)
        }
    }

    repeat(10) {
        val workerA = asyncIncrement(2000)
        val workerB = asyncIncrement(100)

        workerA.await()
        workerB.await()

        println("counter : $counter")
    }
}

enum class Action {
    INCREASE,
    DECREASE,
}

액터는 채널이기 때문에 앞에서 포스팅했던거처럼 capacity를 직접 가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버퍼가 없지만 capacity에 값을 줌으로써 버퍼를 가지게 할 수 있습니다.

val actor = actor<String>(capacity = 10)

또 위의 예제처럼 직접 CoroutineContext를 전달 할 수 있습니다.

val dispatcher = newFixedThreadPoolContext(3, "pool")
val actor = actor<String>(dispatcher)

상호 배제 (Mutual Exclusions)

상호 배제는 한 번에 하나의 코루틴만 코드 블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화 메커니즘으로 일반적으로 뮤텍스라고 합니다.

코틀린 뮤텍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블록되지 않는 점입니다. 실행 대기 중인 코루틴은 잠금을 획득하고 코드 블록을 실행할 수 있을 때까지 일시 중단됩니다. 코루틴은 일시 중단되지만 일시 중단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뮤텍스를 잠글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에서 처럼 Mutex()를 통해서 mutex 객체를 만들고 withLock 블록안에서 잠금 수 있습니다.

var counter = 0

fun main() = runBlocking {

    val mutex = Mutex()
    
    fun asyncIncrement(by: Int) = async(Dispatchers.Default) {
        for (i in 0 until by) {
            mutex.withLock {
                counter++
            }
        }
    }

    repeat(10) {
        val workerA = asyncIncrement(2000)
        val workerB = asyncIncrement(100)

        workerA.await()
        workerB.await()

        println("counter : $counter")
    }
}

결과

counter : 2100
counter : 4200
counter : 6300
counter : 8400
counter : 10500
counter : 12600
counter : 14700
counter : 16800
counter : 18900
counter : 21000

휘발성 변수 (Volatile Variables)

JVM에서 각 스레드는 비휘발성 변수의 캐시된 사본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캐시는 항상 변수의 실제 값과 동기화되지는 않습니다. 한 스레드에서 공유 상태를 변경하면 캐시가 업데이트될 때까지 다른 스레드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Volatile 어노테이션을 변수에 사용하면 다른 스레드에서 값이 변경되자마자 변경사항을 바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코드에서는 스레드 A에서 shutdownRequested의 값을 변경할 경우 바로 변경점이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스레드 B에서 변경사항을 즉시 볼 수 있습니다.

@Volatile
var shutdownRequested = false

휘발성 변수를 통해서 안전하게 원자성을 보장하려면 아래 조건이 둘 다 만족되어야 합니다.

  • 변수 값의 변경은 현재 상테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 휘발성 변수는 다른 변수에 의존하지 않으며, 다른 변수도 휘발성 변수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원자적 데이터 구조

원자적 데이터 구조는 기본적으로 원자적 연산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조로 코틀린에서 제공하는 표준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JVM에서 제공합니다.

var counter = AtomicInteger()

fun main() = runBlocking {

    fun asyncIncrement(by: Int) = async(Dispatchers.Default) {
        for (i in 0 until by) {
            counter.incrementAndGet()
        }
    }

    repeat(10) {
        val workerA = asyncIncrement(2000)
        val workerB = asyncIncrement(100)

        workerA.await()
        workerB.await()

        println("counter : $counter")
    }
}

결과

counter : 2100
counter : 4200
counter : 6300
counter : 8400
counter : 10500
counter : 12600
counter : 14700
counter : 16800
counter : 18900
counter : 21000